본문 바로가기

식품이야기

식품이야기 - 아스파탐 (feat. 제로 음료, 막걸리, 식품첨가물 기준)

728x90
SMALL

안녕하세요

 

요즘 아스파탐에 대해서 뉴스가 많이 나와서 

 

이번시간에는 아스파탐에 대해서 포스팅 해보려고 합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30629169300009

 

"WHO, 인공감미료 아스파탐 '발암가능물질' 분류 계획"<로이터>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이도연 기자 = 설탕 대체 인공 감미료 중 하나인 아스파탐을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가 '발암 가능'...

www.yna.co.kr

https://www.hani.co.kr/arti/economy/consumer/1098258.html

 

‘발암 가능’ 경고 받은 아스파탐, 제로콜라·막걸리에 사용

펩시콜라제로·노브랜드 제로콜라 등 사용서울장수·국순당·지평 등 막걸리에 첨가업계 “교체 협의” “식약처 기준 빨리 정해야”

www.hani.co.kr

 

그럼 

 

아스파탐이란 무엇인가요? 

일단 설탕의 200배의 단맛을 나타내는 인공감미료로 알려져 있습니다.

아스파탐은 식품과 음료에 사용되며,  화학 구조에 당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저칼로리 또는 무칼로리 제품에 사용되는 당대체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아스파탐은 아스파르티크 애씨드와 페닐알라닌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두 성분은 아스파탐의 강한 감미성을 제공합니다.

아스파탐은 천연 감미료보다 훨씬 강력한 당의 맛을 제공하며, 농도에 따라 당의 200배에서 7000배에 해당하는 감미성을 가질 수 있습니다.

주로 청량음료의 첨가물로 세계 120여 개국에서 널리 애용하고 있으며 당이 아닌 펩타이드이므로 소화되었을 때 1g 당 17kJ 의 작은 에너지가 방출되고, 조금만 넣어도 단맛이 강하기 때문에 열량은 무시해도 될정도이기 때문에 제로 음료에 많이 넣습니다.
 

 

아스파탐의 부작용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두통 및 어지러움: 아스파탐은 신경 전달물질인 세로토닌 수용체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일부 사람들은 두통, 어지러움, 피로감 등의 증상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2. 소화 장애: 아스파탐 섭취는 소화 과정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소화 장애 증상인 복부 불쾌감, 가스 형성, 설사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3. 알레르기 반응: 일부 사람들은 아스파탐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을 나타낼 수 있으며, 피부 발진, 가려움증, 부종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대표 아스파탐 함유음식과 함유량

  1. 다이어트 음료 및 탄산음료: 다이어트 콜라, 저칼로리 탄산음료 등에서는 일반적으로 1 캔(355 ml) 당 약 180-200 mg의 아스파탐이 함유될 수 있습니다.

  2. 인스턴트 음료 혼합물: 인스턴트 차, 인스턴트 커피, 합성과일 음료 등에서는 한 개별 팩 또는 스틱당 약 30-50 mg의 아스파탐이 함유될 수 있습니다.

  3. 감미료 및 설탕 대체제: 아스파탐이 함유된 감미료와 설탕 대체제는 다양한 상용 제품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제품에 명시된 지침에 따라 섭취해야 합니다.

  4. 스낵과 초콜릿: 저칼로리 스낵 바나 다이어트 초콜릿 등에서는 일반적으로 제조업체에 따라 다르지만, 한 개별 제품 당 약 50-100 mg의 아스파탐이 함유될 수 있습니다.

 

 

아스파탐 ADI 는 다음과 같습니다.


한국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아스파탐의 ADI는 40 mg/kg입니다.


이는 일반 성인의 경우 일일 최대 허용섭취량이 약 2,800 mg(2.8 g)를 의미합니다.

 

또한, 식품첨가물 기준 및 규격에서 사용기준 량은 다음과 같습니다.

아스파탐의 사용량은 아래와 같으며, 기타식품의 경우 제한받지 아니한다.

1. 빵류, 과자, 빵류 제조용 믹스, 과자 제조용 믹스 : 5.0g/kg 이하

2. 시리얼류 : 1.0g/kg 이하

3. 특수의료용도식품 : 1.0g/kg 이하

4.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 0.8g/kg 이하

5. 건강기능식품 : 5.5g/kg 이하

 

최근 논란 뉴스에 의하면....

IARC의 발암물질 등급 및 분류기준은 다음과 같다.
  • 그룹 A – 인체 발암 물질
  • 그룹 2A – 인체 발암 추정 물질
  • 그룹 2B – 인체 발암 가능 물질
  • 그룹 3 - 분류할 수 없음


영국 더오픈 대학 소속 케빈 맥콘웨이 통계학 교수는 “IARC 분류로는 아스파탐의 실제 (발암) 위험성에 대해 알 수 없다”고 지적했다.
IARC의 분류를 통해선 해당 물질이 얼마나 인체에 위험한지가 아니라, 발암 가능성을 뒷받침하는 증거가 얼마나 강력한지 알 수 있다는 설명이다.
그룹 2B, 즉 ‘인체 발암 가능’ 물질은 “제한적” 인간 대상 연구자료 혹은 동물실험 결과가 있는 경우로, 디젤, 탈크 바디 파우더, 니켈, 알로에 베라, 채소 절임 등 수많은 화학 물질이 이에 속해 있다.
이에 대해 맥콘웨이 교수는 “이러한 물질이 (2B로 분류된 것은) 암을 유발할 수 있다는 증거가 그리 강력하지 않다는 뜻임을 강조하고 싶다”면서 “증거가 강력했다면 그룹 A나 2A로 포함됐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즉, 인체 발암을 유발 할수 있으나 증거나 조사가 없다는 것이고 말 그대로 가능 물질 군에 포함되는 것일 뿐이라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LIST